안규 공부방

ACTIVE SERVER PAGE > 날짜 관련 함수

등록일 : 2017-07-04 17:33 조회수 : 68,308

이번 페이지에서는 날짜에 관련된 asp 함수들을 정리해 볼까 합니다.
 
모두 아시는 내용들이겠지만,,, 정리해 놓으면 많은 도움이 될것 같기도 해서요...
   
  8.1.1. now
  현재의 날짜와 시간을 출력 해 주는 함수 입니다... 아주 유용하죠...
 
  response.write now
결과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2002-02-14 오후 6:49:00

 
  8.1.2. date
  오늘의 날짜를 출력해 줍니다...

  response.write date
결과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2002-02-14


  8.1.3. year(),month(),day()
  년도,월,일을 출력해주는 함수들 입니다.

  response.write year(date)&" "&month(date)&" "&day(date)&"<br>"

  8.1.4. time
   시간을 출력해 주는 함수 입니다.

   response.write time

  8.1.5. hour(),minute(),second()
  시간을 출력해 줍니다.(시간,분,초)

   response.write hour(time)&" "&minute(time)&" "&second(time)&"<br>"

  8.1.6. Weekday()
  날짜를 요일로 바꾸어 주는 함수입니다.
  (1:일요일 , 2:월요일......)

  response.write Weekday(date)

  8.1.7 DatePart()
  DAtePart 함수는  주어진 날짜의 특정 값을 뽑아 올수 있습니다.

response.write DATEPART("yyyy", now)&"<br>"
response.write DATEPART("m", now)&"<br>"
response.write DATEPART("d", now)&"<br>"
response.write DATEPART("h", now)&"<br>"
response.write DATEPART("n", now)&"<br>"
response.write DATEPART("s", now)&"<br>"
response.write DATEPART("q", now)&"<br>"
response.write DATEPART("ww", now)&"<br>"
response.write DATEPART("w", now)&"<br>"


인자값에 대한 설명은 아래 표를 보시면 이해가 가실것 같네용~
 
설정 설명
yyyy
q 분기
m
y 일(일년 기준)
d
w 요일
ww 주(일년 기준)
h
m
s


  8.1.8. DateDiff()
  DateDiff 함수는 두 날짜 사이의 간격을 수치로 표현해 주는 함수 입니다.

response.write dateDiff("yyyy","2001-01-01", now)&"<br>"
response.write dateDiff("m","2002-01-01", now)&"<br>"
response.write dateDiff("d","2002-01-01", now)&"<br>"
response.write dateDiff("h","2002-01-01", now)&"<br>"
response.write dateDiff("n","2002-01-01", now)&"<br>"
response.write dateDiff("s","2002-01-01", now)&"<br>"
response.write dateDiff("q","2002-01-01", now)&"<br>"
response.write dateDiff("ww","2002-01-01", now)&"<br>"
response.write dateDiff("w","2002-01-01", now)&"<br>"


인자값의 사용 방법은 datepart 와 같습니다....
실무 프로그래밍에서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일이 많을것 같지요??

  8.1.9 DateSerial()
  지정된 년, 월, 일의 Date 하위 형식인 Variant를 반환합니다.
 
  DateSerial(년, 월, 일) 
  response.write DateSerial(1990 - 10, 8 - 2, 1 + 1)

  위의 예제를 보면 1990 에서 10년을 빼고, 8월에서 2달을 빼고, 1일에서 1일을 더하라는 뜻입니다.
  결과는 어떻게 나올까여??? '1980-06-02' 이렇게 나옵니다.
 
  이 함수를 사용하면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일도 많겠네요.... 복잡한 날짜 계산을 하지 않아도
  됩니다...
 
  8.1.10. DateAdd()
  DataAdd 함수는 지정된 시간 간격을 추가한 날짜를 반환합니다
 
  response.write DateAdd("m", 1, "95-01-01")

  위의 예제는 1995.1.1에서 1월달을 더하라는 명령입니다. 결과는 1995-02-01 이 됩니다.
  마찬가지로 DataPart() 함수의 인자값과 동일하게 사용됩니다.
 
  8.1.11. formatDateTime()
  현재의 날짜/시간 포멧을 바꾸어 주는 함수 입니다.
response.write FormatDatetime(date,1)&"<br>"
response.write FormatDatetime(date,2)&"<br>"
response.write FormatDatetime(date,3)&"<br>"


결과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2002년 2월 14일 목요일
2002-02-14
오전 12:00:00
 
※ 혹시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에 한마디 남겨주세요!
작성자   비밀번호
자동글 방지     (자동글 방지 기능입니다.)
내용   댓글달기 
이메일 문의 : cak0280@nate.com  
Copyright 2000 By ENTERSOFT.KR All Rights Reserved.